2024. 8. 5. 08:00ㆍ🗞️ AI News
OpenAI가 검색 엔진 프로토타입 SearchGPT를 지난 25일 공개하였다. SearchGPT는 OpenAI의 최신 GPT-4 모델을 활용하여 온라인 정보 검색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earchGPT는 실시간 웹 데이터를 통합하고 대화형 AI를 적용하여, 이전의 기록을 대화에 반영하는 기능 등 기존의 검색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SearchGPT의 주요 기능
SearchGPT는 자연어 쿼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키워드 매칭 방식에 의존하는 검색 엔진과 달리, SearchGPT는 단편적인 키워드도 처리할 수 있어 검색을 더욱 직관적이게 만들고 접근 가능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특히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 관련 링크를 직접 통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특정 프롬프팅을 주지 않을 경우에는 기존 학습된 데이터에 의존하게 되는 ChatGPT 보다 더 신뢰성을 높이고 '검색'이라는 능력을 강조할 수 있는 특징이다.
SearchGPT는 기존 ChatGPT와는 다르게, 사용자와의 대화에서 맥락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인 질문에 답하는 기능이 탑재되어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뉴욕의 날씨는?"이라고 물은 후 "이번 주말 날씨는?"이라고 추가로 물을 경우, SearchGPT는 이전에 질문했던 뉴욕이라는 정보를 기억해 두고 이번 주말 뉴욕의 날씨에 대해 답변하게 된다. 이전 질문의 맥락을 이해하고 일관성 있는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자연스러운 검색 경험을 제공하고 복잡한 정보 탐색 과정을 실제 과정과 유사한 대화로 간소화한다.
또한 SearchGPT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대화형 LLM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 ChatGPT는 데이터가 학습된 날짜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대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SearchGPT는 실시간으로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기존 ChatGPT 대비 실시간 대응성 및 정보의 신뢰성을 매우 향상시켰다. 의료 정보나 법률 관련 질문 등 사실 관계 및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가 매우 중요한 주제들에 대해서도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검색 엔진에 미치는 영향
지난 1월 프로메테우스 AI NEWS에서 AI 검색 엔진에 관련한 기사를 작성한 바 있다. 해당 기사에서는 AI 기반 검색 서비스가 오히려 정보의 획일성을 불러일으켜, 정보의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하지만 SearchGPT의 검색 서비스 개념은 이러한 정보 다양성을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검색 서비스와의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대화 문맥 이해 능력이 대폭 상승하였기 때문에, 같은 프롬프트에서도 대화의 맥락 등을 고려하여 해당 대화에 최적화된 정보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러한 SearchGPT의 도입은 기존 검색 엔진 산업의 판도를 완전히 뒤흔들 것이다. SearchGPT 발표 이후 Google의 주가 3% 하락하는 등 투자자들 또한 검색 엔진 시장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실제로 Google의 검색 시장 점유율은 92.6%에서 91.1%로 감소하기도 하는 등 검색 시장에서의 시장 양상 변화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Google은 그간 검색 서비스에 자사의 AI Gemini를 통합하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해왔으나, LLM 서비스의 절대 강자인 OpenAI가 검색 시장에 뛰어들면서 이제는 실질적인 경쟁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기존의 검색 엔진은 무조건 ‘언어’로써 검색할 내용을 찾아야 했으며, 단순 키워드 매칭 방식이 아니라면 제대로 된 검색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GPT 등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LLM 들은 대화형 질문을 했을 때에도 충분한 답변을 생성해주며, 대부분 Multimodality를 지니고 있어 사진 등 비언어 입력 또한 대응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hatGPT에 대한 의심의 여론이 있었던 것은 할루시네이션 때문이었다. 할루시네이션으로 인해 지금까지 LLM은 검색 엔진 대비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져왔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RAG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범용 검색 엔진만큼의 신뢰성 확보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SearchGPT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LLM만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만큼, 기존 검색 엔진 대비 더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결론
SearchGPT의 출시는 검색 엔진 산업의 경쟁 구도에 큰 변혁을 일으켰다. 기존에는 Google이라는 절대 강자 아래 Bing, Yahoo 등 포털서비스가 검색 기능 외에 뉴스 등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유지해왔다. 대한민국의 경우, NAVER라는 절대강자 포털서비스가 운영중이다. 이러한 시장 구도에서 OpenAI는 기존의 검색 엔진 대신 콘텐츠 제작자, 출판사 및 뉴스 기관 등 컨텐츠 제작자들과 직접적으로 협력하여 SearchGPT를 출시하였다. 이러한 전략적 제휴는 OpenAI가 높은 품질의 최신 정보를 우선시하고, 원활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검색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SearchGPT의 출시는 기존의 거대 기업과 AI 검색 도메인에서 떠오르는 신흥 기업들에 대한 OpenAI의 정면돌파로 해석된다.
Reference
- [OpenAI] SearchGPT is a prototype of new AI search features
- [AI 타임즈] 오픈AI, 실시간 검색 엔진 '서치GPT 출시...구글 주가 하락
- [테크42] -Tech Jornalism by AI OpenAI, 검색 엔진 프로토타입 'SearchGPT' 공개
- [KrASIA Writers] OpenAI launches SearchGPT, Google's latest search rival
- [CNN] OpenAI is taking on Google with a new artificial intelligence search engine | Clare Duffy
대학생 인공지능 연합 동아리 Prometheus
2024년 8월 2일
Editor : 박준형
'🗞️ AI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News #13] Stability AI, 단 0.5초 만에 3D 모델 생성하는 SF3D 발표 (0) | 2024.08.14 |
---|---|
[AI News #11] 최초의 프론티어 레벨의 오픈소스 LLM: Llama 3.1 (0) | 2024.07.29 |
[AI News #10] 한국에서 본 LLM의 진화: 대형언어모델에서 멀티모달 혁신까지 (0) | 2024.07.22 |
[AI News #09] Meta 3D Gen 등장: 1분 안에 텍스트로 3D 모델 생성하기 (0) | 2024.07.15 |
[AI News #08] 인공지능의 발전, 그 이면에 숨겨진 윤리적 문제들 (1) | 2024.07.08 |